✏ 공부/제품 그로스

[제품 그로스] 기능 성과를 제대로 측정하는 법: TARS 프레임워크 (Target, Adoption, Retention, Satisfaction)

alwayshappydaysforever 2025. 5. 27. 15:55
반응형

 

 

이 글은 [TARS로 제품의 진짜 성과 분석하기] 글을 학습하며, 작성한 글입니다. 

 


 

기능을 출시한 뒤, 성과를 어떻게 측정해야 할까? 

출처: https://medium.com/@niklas2106_71245/tars-how-to-execute-and-evaluate-a-feature-strategy-f7a965cc1fb9

 

 

 

Target: 누구를 위한 기능인가?


그 기능의 '실질적 수혜자'가 누구인지 좁혀보는 과정이 필요하다 
-> 가능한 '좁은 타깃' 그룹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좋습니다 

- 제품 사용 목적 : 일반 소비자 / 비즈니스 유저 

- 사용자 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 (연령 /성별 / 직업/ ...) 

- 제품 몰입 수준: 파워 유저 / 핵심 유저 / 라이트 유저

- 제품 경험 수준: 신규 유저 / 기존 유저 

- 고객 유형: 무료 사용자 / 일반 유료 사용자 / 프리미엄 사용자 / 

 

 

Adoption: 기능이 얼마나 사용되고 있을까?


기능이 사용자에게 얼마나 잘 노출되고, 그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지 보여주는 이벤트 

1. 사용자가 기능의 가치를 '처음으로'  경험한 순간을 정의한다 (ex. Youtube: 영상 1분 이상 시청, 쿠팡이츠: 첫 주문, ..) 

2. Adoption = (대상 유저 수) / (기능 사용 유저 수)

3. 성공 기준은 따로 없으며, 풀려고 하는 문제에 따라 기대 수준은 다르다 

 

 

Retention: 계속 사용하고 있을까? 


사용자가 기능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는지 보여주는 지표 

 

리텐션 커브를 그려볼 수 있다

: x축은 시간(빈도 단위), y축은 유지된 사용자 비율 

: 갈수록 평평해지지만, 하락하지 않도록 문제를 잘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https://brunch.co.kr/@hyunjungkim0616/6

 

Satisfaction: 만족하고 있을까?


고객으로부터 '직접'적인 피드백을 받아야 하는 '감정' 기반 지표 😊

1. 인앱 설문 

2. NPS 서베이 

3. 고객 UT, 인터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