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서 기록

[독서 기록📚] 오늘도 개발자가 안 된다고 말했다 (2) 기획자의 일

alwayshappydaysforever 2025. 4. 20. 16:34
반응형

 

 

[독서 기록📚] 오늘도 개발자가 안 된다고 말했다 (1) 가깝고도 먼 개발자

1. 어딘가 이상한 비전공자의 협업 기획자 김 군의 협업 ✔️기획서 목적협업에서는 기획의 의도를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기획서는 그 의도를 정리한 커뮤니케이션 문서라는 것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1. 서비스 기획 들여다보기 

서비스 기획의 범위 

서비스 기획이라는 말은 애매하다.
어떤 회사는 화면 설게만 해주길 원하지만,
어떤 회사는 신규 상품 기획이나 서비스 전략 등 다양한 업무 능력을 요구한다.

이는 기업 문화, 규모, 업무 환경 등의 원인이 있다.

 

 

기획 = 어떤 대상에게 변화를 가져올 목적을 확인하고, 그 목적을 성취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행동을 설계하는 것 

 

1. [대상에 따른 변화에 맞는 목적 확인]은 서비스의 비즈니스 방향을 찾는 단계로 볼 수 있다 

2.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적합한 행동 찾기]는 앞서 발견한 방향성과 목적에 맞게 구체화할 방안을 찾는 단계이다 

3. [설계하기]는 스케치를 실제 산출물로 만드는 단계이다 = 화면 설계서 

 

 

서비스 기획자는 서비스 방향성에 따라 목적과 기준을 정하고, 
구체적인 실행 방법을 설계하고 제안하는 역할인 것이다. 

그렇기에 누구보다 비즈니스 이해도가 높아야 하며 
사용자 니즈 파악은 물론, 다양한 분석을 통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능력까지 
고루 갖춘 팔방미인이 되어야 한다. 

 

인하우스와 에이전시의 기획자 

✔️인하우스 기획자 

- 장점: 서비스 로드맵 구상 - 서비스 성장 과정을 경험

- 단점: 도메인 바꾸기 힘들다  

 

✔️에이전시 기획자 

- 특징: 워터폴 개발 방법론으로 개발 진행 (클라이언트 최종 컨펌) / 기획 단계에서 개발자와 협의하여 개발 가능 여부와 공수 기간 체크 필요 

- 장점: 짧은 시간에 크고 작은 규모의 다양한 프로젝트 참여 가능 

- 단점: 계약 관계로 일하는 만큼 시간에 쫓김 / 서비스를 성장시키는 일보다 매번 새로운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업무로 정형화 되어 있음 

협업을 잘하기 위해서 기획자는
회사의 방향성에 맞게 기준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유와 기준이 있는 기획 

협업의 기준을 잡는 가장 중요한 방향점은 회사의 성장이다. 

 


2. 협업을 위한 사전 준비 

전체를 한눈에 파악하는 IA

✔️ 협업을 위한 사전 준비 

- 전체를 한눈에 파악하는 IA
   : 자사 혹은 타사 서비스의 IA를 작성해보면서 서비스의 구조를 파악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는 것을 추천한다
   : 구조화된 사고는 개발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협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 MECE와 하이라키를 이용한 IA 작성 

   : 화면 번호 작성 : 히스토리 관리 차원 / 삭제된 기능은 삭제하지 않고, 주석을 달아 관리한다 

- 플로우 차트

https://velog.io/@hui0725/Design-Flow-Chart-%EB%8F%84%ED%98%95%EB%B3%84-%EC%9D%98%EB%AF%B8

 

 

- 웹사이트의 계층 구조 이해: GNB - LNB - SNB - Contents - FNB

https://velog.io/@osohyun0224/%ED%94%84%EB%A1%A0%ED%8A%B8-%EA%B0%9C%EB%B0%9C%EC%9E%90%EC%9D%98-PM-%EA%B2%BD%ED%97%98%EA%B8%B0-2-%EC%9B%B9-%EC%82%AC%EC%9D%B4%ED%8A%B8%EC%9D%98-%EA%B3%84%EC%B8%B5-%EA%B5%AC%EC%A1%B0-%EC%9D%B4%ED%95%B4-GNBLNBSNB

- 목적 중심의 벤치마킹 : 벤치마킹시 고려해야 6가지 항목: 타깃 / 프로세스 / 콘텐츠 유형 / 인터페이스 / 유도한 행동 / 디자인 

 

 


3. 협업을 돕는 화면 설계서 

서비스 기획의 범위 

✔️ 화면 설계서를 작성하는 이유

: 화면 설계서는 개발 요청서가 아니다.

: 화면 설계서는 개발 진행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이슈나 정책 보완점을 미리 고려하고 문제 발생 시에 다른 우회 방안을 찾는 등 협업자들의 의견을 수렵하고 개선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문서다 

 

✔️ 목적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방법

1. 개발 요청 기능 정의

2. 제공 대상 

3. 이유 및 목적

4. 예시 / 사례 작성 (정성/정량적 지표 활용)

   - 최근 2개 이상 물건 구매 고객 수 15% 증가

   - 묶음 배송 관련 유선 문의 건수가 전체 문의의 20% 차지

   - 상품별로 배송비를 따로 지불하고 있어 불편하다는 낮은 평점의 고객 리뷰 증가

 

- 설계서 타이틀의 중요성

: 타이틀을 통해 개발자는 개발의 범위를 예상한다 

: 작성방식 : 작성 완료 날짜 + 플랫폼 유형 + 기능 상세 명칭과 기획방향(신규/개선/고도화) + 문서 버전

: 예시 ) 2021.01.01_A몰_상품 검색 신규 기획 설계서_v.1.0

 

✔️ 스토리텔링을 위한 화면 설계서 

- 구성 방식 

1. 타이틀 

2. 목차 

3. 버전 이력 관리 (히스토리 공유) 

4. 설계 목적 및 기대효과 (기획배경 및 목적 공유) 

5. 정책 및 프로세스 정의 

6. UI 설계 (상세 기능 개발 범위 공유) 

 

✔️ 리뷰를 요청하는 방법 

: 기본적으로 개발자를 설득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좋다. 

개발자는 기획 의도에 공감하지 못하면 목표 의식이 약해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