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기록📚] 오늘부터 프로덕트 매니저(2): 팀 관리자로서의 역할 / 그것도 PM이 해요?
[독서 기록📚] 오늘부터 프로덕트 매니저(1): 스프린트와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
01 스프린트와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 - 스프린트: 스프린트(Sprint)는 제품을 만드는 만듦에 있어 주기를 지칭한다. 배포가 기점이 되기 때문에 대개 스프린트의 시작은 이전 배포 직후이며 스프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02 팀 관리자로서의 역할
제품팀의 한계는 제품의 한계와 같다
제품은 결국 제품팀이 만들기 때문에, 조직 구성원에게 투자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제품에 투자하는 것과 같다. 구성원들이 조직에서 자신의 역량이 착취되는 것이 아니라 제품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때 이탈률은 낮아진다
그러므로 조직 구성원이 대체 불가한 사람으로 대우받고 있다는 사실과 조직과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프로덕트 매니저의 권한 내에서는 충분히 지지하자.
팀 관리는 작은 것부터 쉽게 시작하자
1. 직관적인 팀 목표 설정
: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업무 효율이 높아진다
: 인사권에 대한 권한이 없다고 하더라도 프로덕트 매니저가 어떤 사람의 작업에 감사하는 행위는 동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2. 직무별 스터디를 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3. 주기적으로 회고와 원온원 진행
하지만 좋은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미움받고 싶지 않다는 마음을 접어야 한다. 해야 하는 말을 제때 하는 것에 대하여 미안함을 느낄 필요가 없다는 점을 처음부터 상기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03 그것도 PM이 해요?
저는 서비스 기획자인가요? PM인가요?
조직의 구성에 따라 역할이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 서비스 기획자 / PM / PO 간의 채용공고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는 점 >
- 서비스 기획자,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덕트 오너의 역할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중첩된다
- 의사결정과 전략 설정의 역할 또는 구체적인 화면 설계 및 서비스 운영 등 각 직무에 따라 강조되는 역할이 구분된다
- 서비스 기획자의 우대사항이 프로덕트 오너의 지원 요건이 되는 식으로 직무 상세에 대한 스펙트럼이 변화한다
- 공통적으로 도메인 지식, 프로젝트 리딩 경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강조된다
* 프로덕트 오너: 의사결정과 전략설정에 그 방점이 찍힘 >> 도메인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지원자
* 서비스 기획자: 사업체의 규모 또는 제품의 사이즈가 작을수록 직접 운영하는 역할까지 기대 / 경력 초기도 가능
서비스 기획자와 프로덕트 매니저가 함께 있는 조직이라면
* 서비스 기획자: 어떤 만듦새를 가져야 이 제품이 보다 사용자에게 완성도 있게 다가갈 수 있는지에 대한 제품에 가까운 고민. * 프로덕트 매니저: 그렇게 갖춘 완성도가 사업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품의 방향성을 사업 목표와 맞추는 작업에 집중
회사가 필요로 하는 일을 정의하자
유능한 PM이 야근을 안 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이야기할 정도다 (!)
해야 하는 일이 무척 많을 때 내가 업무를 구분하는 잣대이다.
‘정말로 해야 하는 일인지’와 ‘나만 할 수 있는 일인지’의 2가지이다.
1) 해야 하는 일: 해야 하는 일을 좋은 일로 잘못 판단한다면 비즈니스 기회를 놓칠 수 있다
2) 나만 할 수 있는 일: 나만 할 수 있는 일을 해야 목표에 기여할 수 있다.
나의 역량의 최대치는 A 영역의 업무를 얼마나 잘하느냐에 달려 있다. 그리고 나에 대한 조직의 기대도 A 영역의 업무 성과에 맞춰지도록 해야 한다. 특히 D 영역의 업무를 본인이 잘하거나 못한 것으로 인하여 받게 되는 조직의 피드백은 타당성을 떠나 비효율적이다. 그것은 그 프로덕트 매니저가 가장 잘했어야 하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 PM만이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세요 >>
- 백로그 관리
- 서비스 평가 지표 결정, 분석 (지표 관리)
- 팀도 하나의 제품으로 관리 (조직 관리)
PM의 고유한 역할을 찾아내고 이에 집중하세요.
그 역할에만 집중하고 관련된 역량을 키우는데 집중하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