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PM 포트폴리오에는 어떤 경험을 넣어야 하나요?
01 블로그
블로그를 꾸준히 하는 사람은 독자를 상정하고 글을 쓰는 버릇이 들기 때문에 논리적인 맺음이 명확하고 어휘 선택폭이 넓은 경우가 많다. 설득과 협업이 중요한 직무에서는 더할 나위 없는 자질이라고 볼 수 있겠다. 또한 블로그를 일정 시간 이상 꾸준히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그것을 해낸 사람은 끈기 있는 사람으로 비춰진다.
블로그의 가장 큰 장점은 몇 장으로 축약되는 자기소개서나 1시간 남짓의 면접 이외에도 당신에 대해서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면접관 입장에서도 1시간 만에 이 사람과 함께 할지에 대한 결정을 하는 것은 위험부담이 크다. 내가 보여줄 것이 있다면 보여주지 않을 이유가 없다. 내가 이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자질 중에서 어떤 것을 가졌는지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평상시에 조금씩이라도 적어두자.
[ 소재 추천 ]
- 내가 좋아하는 서비스 추천: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혜택을 표현하는 방식을 연습할 수 있고 실제로 사용자가 매력적이라고 느끼는 부분을 탐색하는 연습
- 내가 읽은 업계 서적 리뷰:
- 특정 서비스 역기획서
- 해외 아티클 번역 :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IT 트렌드가 있기도 하지만 자본의 규모에 따라 미리 한국에서 벌어질 추세를 엿볼 수도 있다는 의미
02 역기획서 (역기획에 대해서는 의견이 좀 갈리는 편)
내가 좋아하는 서비스를 하나 골라잡아 마치 이 서비스의 프로덕트 매니저나 서비스 기획자가 된 것처럼 하나하나 뜯어보자. 이 부분은 왜 이렇게 만들어야만 했을까에 대한 질문이 생길 수 있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더 공부할만한 거리를 찾을 수 있다.
혼자 서비스 기획을 공부하는 방법
도그냥의 역기획 스터디법 - 회사 없이도 혼자 서비스 기획을 마스터해 보자
groschool.kr
현업에서 고객여정지도나 페르소나 기반의 자료를 만들지는 않아요 ,,,,, 바빠요 ~~~~
03 직접 일을 벌이자 (사이드프로젝트)
단, 핵심 가설을 먼저 검증해보자. (페이스북 광고)
내가 면접관이라면 당신의 모든 능력중에서 이 부분이 가장 빛날 것이다.
자신이 수익을 낼 수 있는 프로덕트에 사람을 모으고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사람이라면 이미 당신은 멋진 프로덕트 매니저이다.
참고한 글
[독서 기록📚] 오늘부터 프로덕트 매니저(3): PM으로서의 커리어를 시작한다면 (PM 직무역량, 포트
[독서 기록📚] 오늘부터 프로덕트 매니저(2): 팀 관리자로서의 역할 / 그것도 PM이 해요?[독서 기록📚] 오늘부터 프로덕트 매니저(1): 스프린트와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01 스프린트와 프로덕트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