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nie The Pooh Bear

✏ 공부

[MVP] MVP를 출시할 때 M은 '시간'이 아닌 핵심 가치 검증을 위한 최소한의 기능입니다.

alwayshappydaysforever 2025. 3. 31. 12:46
반응형

 

 

MVP (Minimum Viable Product) 
불확실한 시장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적은 공수로 빠르게 제품을 출시하여 검증하는 방법론 

 


MVP 개발 방법론은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제품을 빠르게 개발하여 고객에게 선보인 뒤, 

피드백을 받아 새로운 가설을 수립한다. 

이를 반복하며 MVP는 점점 고도화되고 제품이 완성 단계로 다가가게 된다

 

 

대다수의 조직이 MVP를 만드는 목적은 분명하나, 

정확히 이해하는 경우는 드물다. 

 


 

MVP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1. 최소한의 기능 세트에 초점이 맞춰진 문제 

많은 조직에서 MVP의 M을 Minimum이라고 생각하고, 

적은 공수로 빠르게 제품을 출시해야 된다는 '속도'라는 가치에 빗대어 해석한다. 

 

하지만 Minimum의 정확한 의미는 '제품이 전하고자 하는 핵심 가치만을 담는 것'이다. 

단순히 빠른 시간 내에 제품을 출시하는 것에 포커싱을 하지 않고, 
'좋은 프로덕트인지 확인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생각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2. 인사이트 대신 비전을 중시한 문제 

 

MVP의 핵심 목적은 새로운 시장 혹은 새로운 기능의 PMF를 찾기 위함이다. 

PMF를 찾아가는 과정은 필연적으로 가설 검증의 연속이 되어야 한다. 

조직 내 장기적 비전, 제품을 위한 부가적인 업무에 초점을 두지 않고 오로지 고객 중심의 작고 중요한 가설을 대상으로 제품을 고도화시켜 나가야 한다. 

 

하지만 많은 조직은 시장 내 고객의 의견을 토대로 가설을 수립하지 않고, 

조직 내 비전과 방향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아직 시장 내 가치를 인정받지 않은 제품이 
실제 '고객'이 원하는 제품이 아닌 '우리'가 원하는 제품으로 탄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렇다면 올바른 MVP의 개념은 무엇인가? 

1. 최소한의 핵심가치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명확히 정의하자. 
2. 핵심 가치를 명확히 딜리버리하자 (feat. 킥보드와 자동차는 다르다) 

1. 명확한 가치 제안 

MVP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야 할 것은
제품이 전하고자 하는 '핵심 가치'만을 담는 것이다 

핵심 가치가 절하된 제품을 출시하는 것은 안 하는 것보다 못하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핵심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공수가 크다면, 

그것은 필연적으로 MVP를 검증하기 위해 당연히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최소한의 공수를 위해 스펙을 다이어트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럼으로 인해 핵심 가치를 제공함에 있어 부족함이 있는 제품은 지양해야 한다. 

 

 

2. MVP는 핵심 가치를 고객에게 정확히 딜리버리 하는 것 

 

제품의 핵심 가치를 명확하게 정의했다면, 이 가치를 고객에게 전달하여 검증해야 한다. 

우리가 추구하는 핵심 가치를 필요로 하는 고객에게 선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 가치의 수요가 있는 사용자에게 정확히 딜리버리해야 의미있는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자동차의 교통수단으로서의 가치를 MVP로 검증하기 위해서는

자동차가 가진 본연의 가치를 담은 MVP가 나와야 한다 

 

 

🔻 좌측의 'like this'는 초기 제품을 선보이는 시장을 잘못 선정한 오류가 있다.

스케이트보드와 자동차는 매우 다르기에 사용자의 수요 목적 자체에서도 차이점이 존재한다 

 

https://www.mobiinside.co.kr/2023/07/31/toss-mvp

 


 

 

토스의 MVP는 어땟을까? 궁금하다면 클릭 👇🏻

 

[토스 위닝 세션] 작은 실험이 토스를 키운다ㅣ장민영 토스 CPO | Square of Toss

성공하는 서비스를 만드는토스의 제품 실험 레시피  Chapter 1 토스 10년의 시작, 간편송금의 탄생  서비스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지만 나중에 출시하면 알람을 보내주겠다는 MVP로 사람들의 니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참고한 아티클 및 책

 

MVP의 개념, 제대로 이해하고 계신가요?

M(Minimum)의 뜻은 '최소한의 기능'이 아닙니다. | 내가 하는 것이 정말 MVP가 맞을까? MVP(Minimum Viable Product), 에릭 리스의 린 스타트업이 흥하며 많은 기업이 불확실한 시장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brunch.co.kr

 

 

 

[디자인 프로세스] MVP는 정말 빠르고 쉬울까요? | 요즘IT

보통 MVP(Minimum Viable Product)라고 하면, 아래와 같은 자동차 이미지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자동차로 비유되는 이유는 ‘린 스타트업’이라는 책에서 에릭 리스가 운전을 비유하여 설명을 이어

yozm.wishket.com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김영욱 - 교보문고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 성공하는 프로덕트를 만들고 좋은 프로덕트 매니저로 성장하기 위한 가이드이 책은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전 과정을 안내한다. 프로덕트 매니저(PM) 업무를 포함하여 프로

product.kyobobook.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