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nie The Pooh Bear

💡PMPO커리어 5

[PM 성장 로드맵] PM으로서 어떤 역량을 더 키워야 할까 🤔 (ft. PM 성장 레이더 차트, PM 종류)

나는 어떤 PM으로 성장해야 할까?어떤 목표를 가지고 가야할까?어떤 역량을 더 키워야 할까? PM이 가져야할 4가지 역량 1. 제품 구현: 제품을 실제로 만들어내는 역량2. 고객 인사이트: 데이터 분석, 피드백 수집, UX 설계3. 제품 전략: 비즈니스 목표 설정, 제품 로드맵, 시장 분석4. 사람 영향력: 이해관계가 관리, 리더십, 상위 관리자 커뮤니케이션 PM 성장 단계별 역량 진단 1. 초급 PM : 제품 구현에 집중 (어떻게 만들까?) 2. 중급 PM: 고객 인사이트+ 제품 전략에 집중 (무엇을 만들까?) 3. 고급 PM: 제품 전략 + 사람 영향력 (사람 영향력 + 비즈니스 전략) 4. 리더십: 사람 영향력+ 비즈니스 전략 (회사 미래를 어떻게 설계할까?) PM의 4가지 종류 1. Core PM..

💡PMPO커리어 2025.05.06

[직무 구분] PM 🆚 PO 🆚 서비스기획자ㅣ채용공고 비교, 기업 규모별 직무

조직의 구성에 따라 역할이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 서비스 기획자,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덕트 오너의 역할은 상호 배타적이지 않고 중첩된다- 의사결정과 전략 설정의 역할 또는 구체적인 화면 설계 및 서비스 운영 등 각 직무에 따라 강조되는 역할이 구분된다- 서비스 기획자의 우대사항이 프로덕트 오너의 지원 요건이 되는 식으로 직무 상세에 대한 스펙트럼이 변화한다- 공통적으로 도메인 지식, 프로젝트 리딩 경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강조된다PO와 서비스 기획자의 차이점 프로덕트 오너 서비스 기획자 업무의사결정과 전략설정에 그 방점이 찍힘사업체의 규모 또는 제품의 사이즈가 작을수록 직접 운영하는 역할까지 기대선호하는 지원자도메인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지원자를 선호한다경력이 없는 지원자도 접근 가능 ..

💡PMPO커리어 2025.05.01

[포트폴리오] PM 포트폴리오에는 어떤 경험을 넣어야 하나요?

01 블로그블로그를 꾸준히 하는 사람은 독자를 상정하고 글을 쓰는 버릇이 들기 때문에 논리적인 맺음이 명확하고 어휘 선택폭이 넓은 경우가 많다. 설득과 협업이 중요한 직무에서는 더할 나위 없는 자질이라고 볼 수 있겠다. 또한 블로그를 일정 시간 이상 꾸준히 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그것을 해낸 사람은 끈기 있는 사람으로 비춰진다. 블로그의 가장 큰 장점은 몇 장으로 축약되는 자기소개서나 1시간 남짓의 면접 이외에도 당신에 대해서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면접관 입장에서도 1시간 만에 이 사람과 함께 할지에 대한 결정을 하는 것은 위험부담이 크다. 내가 보여줄 것이 있다면 보여주지 않을 이유가 없다. 내가 이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자질 중에서 어떤 것을 가졌는지 무엇에 관심이 있는..

💡PMPO커리어 2025.05.01

[직무역량] PM이 되려면 어떤 역량이 있어야 하나요? (4가지 직무역량)

01 문제해결: 문제 정의 + 해결방안 탐색 1. 문제 정의 문제가 정의되지 않고 목표가 주어지거나,문제는 공유되지 않고 해법만 요구받는 경우가 있다. 이 때 PM은 문제를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 상급자가 목표를 제시한 경우 : 목표 달성하는데 크게 기여할 문제를 발견한다 - 목표: 다음 분기 일간 방문자 2배 증가 - 원인 분석: 왜 우리 서비스 사용자는 매일 방문하지 않을까?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제시한 경우 - 해법: 상품 상세 정보 화면에 이미지를 여러 개 등록할 수 있도록 파일 등록 버튼을 만들어주세요 - 원인 분석: 버튼으로만 해결할 수 있나? 이미지만 올리길 원하는가? 2. 해결방안 탐색문제 해결 능력이 그 사람의 경력을 대변한다고 생각한다. 제품팀은 사업 또는 사용자가 직면한 문제를 기..

💡PMPO커리어 2025.05.01

[커리어 목표] 나는 왜 서비스 기획자가 아닌 PM이 되고싶은가? 서비스 기획자와 PM의 차이점

우선 내 경력을 소개하자면,나는 마케터로 1년 조금 넘게 그리고 직무를 전환하여 서비스 기획자로 2년 일했다 비교적 작은 규모의 스타트업에서 일한 만큼 서비스 기획자로서 다양한 업무를 진행했다. 그러나 내가 진행한 업무를 살펴보니,나는 서비스 기획자와 PM 그 사이 어딘가 (..)에 걸쳐서 업무를 진행한 듯 싶다(다른 회사의 서비스 기획자 혹은 PM으로 일하시는 분들의 업무와 비교해보고, 또 커피챗을 진행하며 알게되었다) 그리고 진득하게 고민했다 1) 내가 다른 기획자들보다 더 잘하는 일이 무엇일까? 2) 내가 더 관심이 가는 일은 무엇인가?3) 일하면서 갈증을 느꼈던 부분은 없었는가? 4) 내가 목표로 하는 커리어는 무엇인가? 5) 나는 어떻게 성장하고 싶은가?.. 등등을 깊이 생각하다 보니 ..

💡PMPO커리어 2025.03.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