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화 관련 주요 지표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 사용자 한 명이 평균적으로 발생시키는 매출
- ARPU는 시작과 끝이 있는 특정 기간에 대한 지표다 = 회사마다 통용되는 명확한 기준 필요, 보통 월 기준
- 월 기준으로 집계한다면 = 월매출 / MAU
ARPPU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 결제자 인당 평균 매출
- 마찬가지로 기간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 보통 월 기준으로 측정
- 계산: 매출 / 유료사용자
고객 생애 가치 (Lifetime Value, LTV)
- 사용자가 진입하는 순간부터 이탈하는 순간까지의 전체 활동 기간에 누적해서 발생시키는 수익
- 현실적으로 구하기 어려운 개념 -> 보완 : LTR
고객 생애 가치(Customer Lifetime Value) 이해하기
얼마전, 아내의 생일에 팔로 알토(Palo Alto)의 플레밍스(Fleming’s Prime Steakhouse & Wine Bar)라는 스테이크하우스에 갔다. 모처럼 분위기를 잡고 값비싼 안심 스테이크와 등심 스테이크를 하나씩 주문
sungmooncho.com
고객 생애 매출(Lifetime Revenue, LTR)
- 고객 한 명에 대한 기대 '매출'
- LTV는 기대 '수익'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 코호트별 가입자당 결제액을 모두 합산한 값
수익화 분석하기
1) 고객 생애 매출 (LTR) 활용하기
- 고객 생애 매출 활용할 때의 포인트
- 우리 서비스의 전체적인 고객 생애 매출을 딱 떨어지는 숫자로 요약하는 것에 집착할 필요 ❌
- 코호트별 고객 생애 매출의 추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는게 더 유용 ⭕️
- 코호트 분류 기준 = 가입 시점
-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는 서비스라면 LTR이 CAC를 빠르게 따라잡고 장기적으로 CAC의 몇 배수까지 높아져야 한다
- 비즈니스 생존 가능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질문
- 일반적으로 LTR이 CAC의 5~10배는 되어야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 가능
- LTR이 CAC를 넘어서기까지의 기간이 얼마나 걸리는지도 고려해야 한다
- LTR을 늘리는 것이 CAC를 줄이는 것보다 효과적이다
- 이렇게 해보자
- LTR을 구한다, 코호트별 비교를 하거나 LTR의 기간별 변화 추이를 살펴보자
- LTR을 고려해서 목표로 하는 CAC 수준을 정한다. 수익 구조나 마진을 고려해서 CAC의 1/5 혹은 1/10 수준으로 잡으면 좋다 = 마케팅 비용을 정하는 의사결정 수준이 된다
수익화 쪼개서 보기
[공부] 데이터는 쪼개 볼수록 더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결론 요약지표를 잘게 쪼개서 보면, 어떻게 성과 지표를 개선하면 좋을지 방안을 마련하고 실행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냥 '매출을 어떻게 늘리지?'하고 생각하는 것은 너무 막연하다. 매출을 구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 아이템별 매출의 합계
- A 아이템 매출 + B 아이템 매출 + C 아이템 매출 + ...
- 사용자별 매출의 합계
- 사용자 세그먼트 분류한 후 전체 매출 계산 (성별, 인구통계학, 신규 + 기존 회원, ...)
- 결제자 수 x ARPPU ⭐️ ⭐️
- 매출 = 결제자수 x ARPPU
- 매출 = 활동 회원 x 결제비율 x ARPPU
- 매출 = 가입자 x 리텐션 x 결제비율 x ARPPU
- 매출 = 설치 수 x 가입 전환율 x 리텐션 x 결제비율 x ARPPU
- 이런 식으로 매출을 퍼널에 따라 쪼개면 매출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패턴을 훨씬 더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매출 증가 원인이 가입 전환율이 좋아져서인지, 잔존율이 좋아져서인지, 결제 비율이 높아져서인지, 평균적으로 더 비싼 제품을 샀기 때문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
- 특히 가입 기간에 따른 월별 코호트 기준으로 확인하면 더 입체적으로 분석 가능!
- 월별 반복 매출 (MRR, Monthly Recurring Revenue)
- 구독형 서비스에서 매출 분석하는 방법
- 계산법: 기준 MRR + 신규 MRR - 이탈 MRR + 업그레이드/다운그레이드 MRR
- 기준 MRR: 전월 기준 매출
- 신규 MRR: 신규 고객으로 인해 증가한 매출
- 이탈 MRR: 기존 고객 이탈로 인해 감소한 매출
- 업그레이드 MRR: 기존 고객 대상 크로스셀, 업셀로 인해 증가한 매출
- 다운그레이드 MRR: 기존 고객의 요금제 하향 조정 등으로 감소한 매출
수익화 정리
- 파레토 법칙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기에, 평균값은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 요약된 수익화 지표 하나만 보고 의사결정을 내리기보다는
사용자를 다양한 방식으로 그루핑하고 각 그룹에 맞는 운영 및 수익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 서비스를 출시하는 시점에는 수익 모델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지만 그런 경우라고 해도
어느 시기에 어떤 방식으로 수익화할 것인가에 대한 로드맵은 명확하게 존재해야 한다
앱서비스 수익화 관련해서 공부할 때 작성한 아티클도
함께 첨부합니다 (^⦁⩊⦁⸝⸝^)
2025.03.24 - [✏ 공부] - [앱 서비스 수익화]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1) : MRR, Net MRR Movement, ARPPU
[앱 서비스 수익화]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1) : MRR, Net MRR Movement, ARPPU
앱 서비스로 매출을 낼 수 있는 2가지 방식 정의고려해야 할 부분광고 수익화유저 입장에서 사용성을 희생하면서 공짜로 앱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1. 광고 지면 선정 (클릭, 노출이 많이 발생)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2025.04.07 - [✏ 공부] - [앱 서비스 수익화]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2) : 무료 체험
[앱 서비스 수익화]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2) : 무료 체험
이전 글부터 정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앱 서비스 수익화]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1) : MRR, Net MRR Movement, ARPPU앱 서비스로 매출을 낼 수 있는 2가지 방식 정의고려해야 할 부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2025.04.10 - [✏ 공부] - [앱 서비스 수익화]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3): T2P(Trial To Paid)
[앱 서비스 수익화]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3): T2P(Trial To Paid)
[앱 서비스 수익화]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1) : MRR, Net MRR Movement, ARPPU앱 서비스로 매출을 낼 수 있는 2가지 방식 정의고려해야 할 부분광고 수익화유저 입장에서 사용성을 희생하면서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참고한 아티클
https://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16
[독서 기록📚] 그로스해킹(4) - AARRR_Revenue(ARPU, LTR, 수익화 쪼개기, MRR), Referral(친구 초대 플로 설
3.5 수익화수익화의 기본 개념 결국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개념수익화 관련 주요 지표 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사용자 한 명이 평균적으로 발생시키는 매출 ARPU는 시작과 끝이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154/
프로덕트의 ‘수익화’를 측정하는 지표들: ARPU, ARPPU, NRR | 요즘IT
이번 글에서는 프로덕트를 보는 다섯 가지 렌즈(획득, 활성화, 인게이지먼트, 리텐션, 수익화) 중 마지막으로 수익화(Monetization) 관련해서 측정하는 지표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yozm.wishket.com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OL]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태블로 ㅣ 무료 강의 (0) | 2025.05.04 |
---|---|
[지표] 기능 성공을 측정할 3가지 지표 : 핵심 지표(가치 중심), 보조 지표(활용 중심), 가드레일 지표(문제 예방 지표) (0) | 2025.04.29 |
[Quick] 기획자 종류: 백오피스 기획자 🆚 백엔드 기획자 (0) | 2025.04.24 |
[지표] 서비스 성공을 예측하는 지표: 리텐션ㅣ리텐션 정의, 측정 지표, 리텐션 개선 (0) | 2025.04.20 |
[지표] 인게이지먼트 지표 : 리텐션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핵심 지표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