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nie The Pooh Bear

✏ 공부

[PMF] 서비스 출시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단 한 가지 개념ㅣPMF 검증 지표, PMF 검증에 실패했다면?

alwayshappydaysforever 2025. 3. 9. 17:01
반응형

약 3주 후 MVP 출시 예정이다 

제품을 출시하기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PMF' 개념에 대해 다시 한 번 되짚어보고 
우리 서비스의 PMF는 어떻게 검증할지 계획을 세우고자 한다.
6개월동안 열심히 준비해서 출시했는데, 사용자가 며칠 쓰다 나가버린다 
생각만 해도 아찔한 순간 ........ 

 

 

정말 많은 PM이 실수하는 것

  • 제품을 먼저 만들고 고객을 찾는다 
  • 기능을 추가하고, 추가하고, 추가한다 
    • 제품은 기능의 조합이 되어서는 안 된다 
    • 제품은 가설의 조합으로 이뤄져야 한다. 그러한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으로 이뤄져야 한다. 

 

제품-시장 적합성 (PMF) 

  • 제품이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고, 타겟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량 지표
‘PMF를 확인한다’는 것은
우리가 만든 제품이나 서비스가
그로스 해킹을 한 만한 가치가 있는가? 라는 질문에 답하는 과정이라 생각할 수 있다
  1. 우리가 생각한 그 문제가 진짜 있긴 한가? 
  2. 우리가 만든 제품이 그 문제를 해결한 게 맞나?
  3. 이 제품을 만들면서 세운 가설이 검증되었는가? 

 

PMF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해야 할 지표

  1. 리텐션
    • 기울기: 초기 일정 기간이 지나면 리텐션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패턴
    • 안정화되는 시점에서 절대적인 리텐션 수치
  2. 전환율
    • PMF를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전환율 수치 자체보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전환율의 변화 추이 
  3. 순수 추천 지수 (NPS)
    • NPS = 추천고객(적극적 추천 그룹) 비율 - 비추천 고객 비율  
    • 서비스를 적당히 좋아하는 1000명의 사용자보다는 서비스를 열렬히 사랑하는 100명의 충성 사용자를 확보했을 때 그 서비스가 성공할 확률이 크게 높아진다 
 

[독서 기록📚] 그로스해킹 (1) - 그로스 해킹, PMF

1. 그로스 해킹이란? 1.1 그로스 해킹 그거, 우리도 해 봅시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서 만든 제품이 알고 보니 아무도 원하지 않는 제품이라는 점을 뒤늦게 발견하는 것만큼 나쁜 일은 없다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초창기 제품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싶다면, 이것은 반드시 기억하자. 

우리가 확인해야 할 지표는, 

  • 설치수, 가입자 수 ❌
  • PMF를 확인하는 지표이다 ⭕️

 

우리 서비스가 PMF를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면? 

  • 하면 안 되는 것 
    1. 브레인스토밍
    2. 새로운 기능 추가
    3. 잔존율이나 전환율 개선하기 위한 실험
      • 이 단계에서의 목적은 PMF를 찾는 것이고, 리텐션과 전환율은 이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해야 한다 : 리텐션과 전환율은 PMF를 찾고 난 이후의 '결과'로 나타나는 지표이고, 이 지표 자체를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 돼서는 안 된다
  • 해야 하는 것: 사용자에 대해 더 많이 연구하고 사용자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 
    1. 사용자를 직접 만나서 이야기 듣기
      • 사용자가 우리의 의도대로 서비스를 잘 쓰고 있는지, 우리가 포착하지 못한 숨겨진 니즈는 없는지, 실제로 제품을 사용하는 맥락이나 환경이 우리가 생각한 것과 동일한지에 대해 사용자의 생각을 직접 들어보고 그 행동을 꼼꼼하게 관찰해야 한다
      • 1:1 사용자 인터뷰
        • 유의점
          • 사용자 인터뷰는 내가 생각한 가설을 확인하는 과정이 아니고 사용자의 목소리와 의견을 통해 제품에 대한 사용경험과 맥락을 이해하는 과정임을 명심하자
          • 사용자가 이야기해주는 것은 '정답'이 아닌 '맥락'이다
    2. 사용자 행동 데이터 분석 : 사용자 행동 로그를 잘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출시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