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5): 의심하고 또 의심하라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4):아하 모먼트를 찾아서, 의심하고 또 의심하라[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3): 서비스 뜯어보기 신공, 본질적인 문제를 풀어라 알맞은[독서 기록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08 '프로덕트 떼루아'를 파악하라
기업의 이해관계/ 환경 (= 프로덕트 떼루아)에 따라 목표를 재해석해야
같은 기능이더라도 비즈니스 성과를 달성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프로덕트 떼루아를 파악하세요!
1. 프로덕트 떼루아를 아시나요?
- '떼루아'는 프랑스어로 토양 혹은 풍토를 뜻하는 단어
프로덕트 세계의 떼루아 = 4가지 종류로 구성
1. 업종
2. 거래 흐름
3. 현금 흐름
4. 개발 방법
통신사, 금융사 | 플랫폼사, 커머스사 | |
POINT | 기존 BM이 안정적이기에, 신사업 진출 가능성이 보이는 '무언가'가 중요하다 (ex. 비통신시장 진출, 잠재고객군 확보) |
기존 BM이 안정적이지 않기에, 단기 성과보다 중기 성과를 바라보는 투자가 중요하다 (ex. 수익성 개선, 현금 유동성) |
주요 타깃 | 유저 | 가맹점 / 판매자 |
고객 가치 | UX 편의성 - 가입 편의 - 기능 큐레이션 |
백엔드 - 결제 편의 - 정산 편의 |
개발 비중 | 프론트 70 / 백엔드 30 | 프론트 20 / 백엔드 80 |
프로덕트를 기획할 때는 프로덕트가 기업과 유저의 문제를 연결할 수 있는
가교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을지 깊게 고민해야 한다
간편결제사 | 커머스사 | |
BM | 결제 수수료 (매출) |
상품 판매 수수료 (매출) |
수익성 확보 | 1. 가맹점에 결제 수수료를 높게 받기 2. 결제 원천사(카드사)에게 원천 수수료를 적게 내는 현금 흐름을 만들기 |
1. |
정산 및 수수료 지불 주체 | 가맹점 | 판매자 |
정산주기 | D+3, D+7 | D+30 ~ D+60 |
주요 지표 | 선불결제 전환율 |
<선불 방식의 프로덕트 떼루아>
간편결제사 선불방식 | 커머스사 선불 방식 | |
유저 가치 | 결제 편의(온/오프라인) 결제 시 정량적 혜택 |
결제 편의(온라인) 충전 시 정량적 혜택 |
비즈니스 가치 | 매출 증대 및 수익성 강화 | 현금 유동성 기여 |
주요 프로덕트 스펙 | 선불 충전 온/오프라인 선불 결제 가맹점 결제 연동 |
선불 충전 온라인 선불 결제 |
핵심 프로덕트 스펙 | 선불 결제 | 선불 충전 |
핵심 성과 지표 | 선불결제 전환율 | 선불 충전액 |
09 "WHY"라고 자문하라
스스로에게 '왜?'라는 질문을 던져보자.
1. PM은 끝없는 Why를 찾는 여정
- PM의 본질은 무엇일까?
항상 스스로에게 Why라는 물음을 던지는 것
- Why는 왜 가장 중요한가?
1. 왜는 목적이자 의도이기 때문
2. '왜'는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
3. '왜'는 사람을 움직이는 강력한 힘이기 때문
- Why가 제품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
Why가 명확하지 않다면 길을 가다가 반드시! 다시 돌아오게 됩니다.
반드시 Why를 먼저 사수해야 합니다.
- 끝없이 나에게 Why를 던지세요
2. 제품의 이해: 제품은 '왜' 있어야 할까요?
<PM 채용 인터뷰에서 자주 묻는 질문>
면접관 Q. 제품은 왜 있어야 할까요?
면접자 A. ....
- 미션은 기업의 본질입니다. 기업의 흔들리지 않는 의사결정의 기준점 / 왜 그 기업이 있어야 하는지
(ex. 우아한 형제들: 맛있는 음식을 먹고 싶은 곳에서)
- 2가지 사업적 가치
1) 진통제 💊 : 고객의 불편함을 없애줌
2) 비타민 🍋: 복용하면 좋지만, 복용하지 않아도 큰 영향은 없음
✔️ 모든 사업적 가치는 비타민에서 시작해서 진통제가 되는 과정이다
✔️ 사업은 가치를 만듦으로써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만든다
- 새로운 기능으로 제품을 개선하지 않아도, 운영 정책으로 풀 수 있는 문제도 많습니다.
같은 문제를 풀면서 더 힘을 들일 필요는 없습니다.
- 수많은 요구사항이 여과없이 제품으로 반영되면 : 괴물이 됩니다 🧌
PM은 수단인 제품과 목적인 사업, 양쪽에 항상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3. PM의 이해: PM은 '왜' 있어야 할까요?
- CEO가 되어보니 PM/PO는 미니 CEO가 아니다
PM은 사람을 직접 움직일 수 있는 결정 권한이 명시적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을 움직여서 한 방향으로 모아서 멋진 제품을 만듭니다.
그리고 그 제품이 고객에게 환경받고 가치를 만듭니다. 그런 가치가 모여 세상을 바꿉니다.
PO는 CEO가 가진 사람을 움직일 수 있는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이 없으니 역량과 커뮤니케이션으로 사람을 움직여야 합니다.
- PM은 오케스트라 지휘자
지휘자는 악기를 연주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모든 악기를 이해해야 합니다. 악기가 내는 소리와 특성을 알아야 합니다. 또,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들도 이해해야 합니다.
PM은 다양한 사람들을 움직여서 하나의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
이를 위해서는 그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는지,
그 직무와 사람들의 특성을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 왜 PM이 되고 싶으세요?
PM은 쉬운 직무가 아닙니다. 권한은 적고, 책임은 많습니다.
결과가 좋으면 스프트라이트를 받지만, 좋지 않으면 모든 책임을 요구받을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이 생각하는 PM은 무엇인가요?
왜 PM이 되고싶은가요?
자신만의 Why가 가장 중요합니다.
변하지 않는 본질을 단단하게 만드세요.
이 생각들이 성과를 만듭니다.
4. PM의 성장: 생각의 근육을 키우는 방법
1. PM의 생각 프레임워크: Why -> What -> How
1. Why(문제정의 /우선순위 결정)
* PM이 홀로 고민하는 시간 / 잘못된 목표와 문제를 정의하면 절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어떤 문제를 풀고싶나요
-그 문제를 푼다면 누구에게 어떤 가치를 줄 수 있나요
-새롭게 잡으려는 기회는 무엇인가요
-달성할 목표는 무엇인가요
2. What (해결책 정의)
-우리 의도대로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고 있나요?
- 원하는 목표를 이뤘나요?
3. How (방법)
* 가장 시간이 많이 들이는 단계 / 사람들을 움직여서 실제로 실행이 이뤄지는 단계
-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요? 어떤 기술을 사용할까요?
- 어떤 일을 먼저해야 할까요?
- 각 단계는 누가 담당해야 할까요? 전체적인 일정은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4. 프로덕트 출시
2. 생각을 더욱 단단하게 만들기 - 화이트보드 미팅
- 상위 기획: Why에 무게감을 두는 문서 / 상세 기획: How에 무게감을 두는 문서
- 기획서를 작성하기 전 화이트 보드에 [Why - What - How]를 화이트보드에 적으며 프로덕트를 함께 만들 팀원 앞에서 발표하세요
좋은 PM이 되는 방법은 이미 내 안에 있습니다.
남을 모방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의 모습을 찾아가면 됩니다.
대체 뭐가 문제야 | 제럴드 M. 와인버그 - 교보문고
대체 뭐가 문제야 | ‘문제’인 문제를 제대로 발견하는 방법!문제를 푸는 방법이 아닌, 문제를 제대로 발견하는 방법을 말해주는 『대체 뭐가 문제야』.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은 단순해 보이지
product.kyobobook.co.kr
모든 기획자와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사람에 대한 100가지 사실 | 수잔 웨인쉔크 - 교보문고
모든 기획자와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사람에 대한 100가지 사실 | 이 책은 심리학과 뇌 과학을 중심으로 ‘왜 사용자들은 특정 행동을 할 수밖에 없는지’, 그리고 그런 사용자를 위해 ‘디자이
product.kyobobook.co.kr
콘텐츠의 미래 | 바라트 아난드 - 교보문고
콘텐츠의 미래 | 디지털 변화와 그 변화에서 길을 찾는 방법!게임이든, 냉장고든, 자동차든, 유통이든 분야를 막론하고 디지털 변화가 몰아치는 세상에서 비즈니스 성공을 원하는 이들에게 가장
product.kyobobook.co.kr
디커플링 | 탈레스 S. 테이셰이라 - 교보문고
디커플링 | 시장 파괴의 주범은 기술이 아닌 고객이다!하버드 경영대학원 테이셰이라 교수가 8년간 수백 개 대기업과 신흥 기업을 찾아다니며 실사례를 분석하는 집요한 연구 끝에 내놓은 경영
product.kyobobook.co.kr
'📕 독서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기록📚] 오늘도 개발자가 안 된다고 말했다 (2) 기획자의 일 (0) | 2025.04.20 |
---|---|
[독서 기록📚] 오늘도 개발자가 안 된다고 말했다 (1) 가깝고도 먼 개발자 (0) | 2025.04.20 |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5): 의심하고 또 의심하라 (0) | 2025.04.04 |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4):아하 모먼트를 찾아서 (0) | 2025.04.03 |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3): 서비스 뜯어보기 신공, 본질적인 문제를 풀어라 알맞은 방법으로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