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4):아하 모먼트를 찾아서, 의심하고 또 의심하라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3): 서비스 뜯어보기 신공, 본질적인 문제를 풀어라 알맞은[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2): 시작하는 PM을 위한 5가지 스킬, 더 큰 차이를 만드는 킥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06 의심하고 또 의심하라. 악마도 천사처럼 웃는다.
1. 지표: 확실하지 않으면 승부를 걸지 마라
01 ) 시대적 유입과 이탈
- 외부 변화는 기회가 될 수도 있고 위기가 될 수도 있다.
(ex. 넷플릭스: 코로나로 인한 회원 수 급증)
(ex2. 중고차: 코로나로 인한 중고차 수요 급증했지만 코로나 종식 후 금리 상승에 따른 할무 구매 이자 부담으로 수요 감소)
02 ) 기간 관점에서의 트래픽 변화
- 특정 기간에 쌓인 데이터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다
- 고객 반응과 트래픽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과 고도화를 추진해야 한다.
03 ) 기술통계를 통한 분석
04 ) 트래픽의 재발견
- 트래픽을 마치 '물줄기'처럼 효과적으로 이끌 필요가 있다.
- 의도된 이탈 지점: 트래픽을 적절하게 분류하고, 필요한 곳으로 유도한다.
- 이탈한 트래픽을 새로운 기회로 바꾸는 것이 결국은 플랫폼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법
2. 인터뷰: 니즈 파악하기
01 ) 일반적인 질문 vs 목표 지향적 질문
- 2가지 유형의 질문을 적절하게 혼합
- 초기: 고객의 전반적인 의견을 듣기 위한 일반적인 질문 / 세부 조언을 원하면 목표 지향적 질문
02 ) 설문 문항 설계하기
- MECE를 지키기
- 고객의 생각을 바탕으로 설문 문항을 설계하기
ex. 중고차 판매 서비스 신청에 주저하는 고객 : 차량의 필요성 / 거래 과정 / 가격 선정 / 딜러 대면 / 추가 견적 필요성
03 ) 인터뷰 프로세스
- 반정형 인터뷰(추가 질문 / 과정 중 질문 변경 가능)와 정형 인터뷰 중 선택
인터뷰 단계
1. 목적 정의
2. 대상 고객 선정
3. 인터뷰 가이드 준비: 질문 구조화
4. 인터뷰 방법론 선택 (ex. 서비스 이용 중 대상 고객에게 팝업 레이어 활용하여 피드백 수집)
5. 인터뷰 실시 : 실시간으로 응답 모니터링 + 기록
6. 인터뷰 데이터 분석
7. 인사이트 도출
8. 결과 적용
04 ) 진실의 순간에 도달하기
- 예상 가능한 원인이 아닌, 그걸 뛰어넘는 통찰적인 이해를 얻어야 의미있는 인터뷰이다.
- 이를 위해서는?
1) [단일 선택] 이 아닌 [다중 선택]으로 진행하는 것 추천한다
2) 설문 문항 순서를 랜덤화한다
3. 분석: 사용자 행동으로 찾는 '아하 모먼트'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4):아하 모먼트를 찾아서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3): 서비스 뜯어보기 신공, 본질적인 문제를 풀어라 알맞은[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2): 시작하는 PM을 위한 5가지 스킬, 더 큰 차이를 만드는 킥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ex. 엔카닷컴 앱의 검색 기능을 개선하는 사례로 아하 모먼트를 찾아보자.
01 ) 검색 숙련도 단계 확인하기
- 각 유저별로 단계 구분
- 인지 > 호기심 > 탐색 > 결정 > 행동 별로 구분 가능
02 ) 아하 모먼트로 해결하기
- 사용자에게 언제 메세지를 보낼 것인지 실험 필요
(재검색 주기 / 검색 결과 수 / 유효 클릭존) 을 파악하기 위함.
- 검색 결과 중고차가 50대 이상, 40번째 상품이 노출되는 시점에 전달
- 결과
a. 안내 팝업을 받지 않은 대조군은 행동 단계로 전환하는 데 55일 소요
b. 안내 팝업을 받은 실험군은 25일만에 행동 단계로 전환
4. 가설 & 실험: 생각하고 행동하라
01 ) 좋은 가설 vs 나쁜 가설
좋은 가설 | 나쁜 가설 |
웹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찾는 정보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검색 기능을 개선하면, 사용자 평균 체류 시간이 10% 증가할 것이다. | 웹사이트를 개선하면 사용자들이 더 행복해질 것이다 |
추상적이며, '행복'이라는 결과를 측정하기 어려워 구체적인 목표와 전략이 없다 |
02 ) 좋은 가설과 문제 정의 예시
가설 | 문제 정의 | 도출된 전략 |
로딩 속도를 20% 향상시키면 페이지 뷰수가 10%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서버 용량 증가로 운영 비용이 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사이트 로딩 속도 개선과 페이지 뷰 증가의 관계 - 서버 용량 증가에 따른 운영 비용 증가 |
- 로딩 속도 최적화를 위한 효율적인 리소스 관리 -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가변적 서버 용량 조정 |
- 지표를 개선하면 '비즈니스 성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연결고리를 제공해야 한다.
추천해주신 책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916921
인스파이어드 | 마티 케이건 - 교보문고
인스파이어드 | 왜 어떤 제품은 ‘대박’을 터트리고 어떤 제품은 그러지 못할까? 인터넷 산업의 초기 시절에는 한 회사가 어느 지역에 위치했는지가 그 회사가 일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습
product.kyobobook.co.kr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0408030
일을 잘한다는 것 | 야마구치 슈 - 교보문고
일을 잘한다는 것 | 최고의 성과를 내는 사람은 무엇이 다른가? 어떤 자리에서든 반드시 해내는 사람들의 ‘일의 공식’흔히 ‘일을 잘한다’고 여겨지는 이들은 어떤 사람이며, ‘일을 잘한다
product.kyobobook.co.kr
07 '왜 안되는가'에 집중하라
일잘러들은 공통적으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는 능력이
누구보다도 뛰어났습니다.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해결 방법을 찾는 것이 아니라,
'왜 안 되는 것인가'에 대한 이유를 찾는 겁니다.
1.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없이 프로덕트를 만들면 생기는 문제 & 2. 비용 대비 편익의 문제
기획자는 기능을 구현할 때 항상 비용대비 편익을 고려해야 합니다.
문제점을 발견했을 때 한 발 물러서서,
나의 사수 / 상사 / 전임자는 정말 이 문제를 몰랐을 지,
알면서도 해결하지 않은 건지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판단해보자.
3. 주객이 전도되었을 때 생기는 문제
- 기능은 필요에 의해 만들어져야 합니다.
4. 감과 직관이 아니라 현장과 데이터로
- 역시 현장이지 말입니다.
- 현장을 보지 못했다면 저의 편협한 생각과 경험으로 쿠폰 기능을 개발하지 않았을 겁니다.
5. 정말 해야 할까요?
- 서비스나 기능을 만들 때
'이런 서비스를 만들면 사람들이 좋아할 거야' 라는 결과가 아니라
'왜 아무도 이런 서비스를 만들지 않는거지?'라는 원인을 먼저 생각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 독서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기록📚] 오늘도 개발자가 안 된다고 말했다 (1) 가깝고도 먼 개발자 (0) | 2025.04.20 |
---|---|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6): 프로덕트 떼루아를 파악하라, Why라고 자문하라 (0) | 2025.04.07 |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4):아하 모먼트를 찾아서 (0) | 2025.04.03 |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3): 서비스 뜯어보기 신공, 본질적인 문제를 풀어라 알맞은 방법으로 (0) | 2025.04.02 |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2): 시작하는 PM을 위한 5가지 스킬, 더 큰 차이를 만드는 킥오프 기술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