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nie The Pooh Bear

po 10

[독서 기록📚] 오늘부터 프로덕트 매니저(2): 팀 관리자로서의 역할 / 그것도 PM이 해요?

[독서 기록📚] 오늘부터 프로덕트 매니저(1): 스프린트와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01 스프린트와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 - 스프린트: 스프린트(Sprint)는 제품을 만드는 만듦에 있어 주기를 지칭한다. 배포가 기점이 되기 때문에 대개 스프린트의 시작은 이전 배포 직후이며 스프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02 팀 관리자로서의 역할제품팀의 한계는 제품의 한계와 같다제품은 결국 제품팀이 만들기 때문에, 조직 구성원에게 투자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제품에 투자하는 것과 같다. 구성원들이 조직에서 자신의 역량이 착취되는 것이 아니라 제품과 함께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때 이탈률은 낮아진다그러므로 조직 구성원이 대체 불가한 사람으로 대우받고 있다는 사실과 조직과 함께 성장할 수 ..

📕 독서 기록 2025.04.29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6): 프로덕트 떼루아를 파악하라, Why라고 자문하라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5): 의심하고 또 의심하라[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4):아하 모먼트를 찾아서, 의심하고 또 의심하라[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3): 서비스 뜯어보기 신공, 본질적인 문제를 풀어라 알맞은[독서 기록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08 '프로덕트 떼루아'를 파악하라 기업의 이해관계/ 환경 (= 프로덕트 떼루아)에 따라 목표를 재해석해야 같은 기능이더라도 비즈니스 성과를 달성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프로덕트 떼루아를 파악하세요! 1. 프로덕트 떼루아를 아시나요? - '떼루아'는 프랑스어로 토양 혹은 풍토를 뜻하는 단어프로덕트 세계의 떼루아 = 4가지 종류로 구성 1. 업종 2. 거래 흐름3. 현금 흐름 4. 개..

📕 독서 기록 2025.04.07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3): 서비스 뜯어보기 신공, 본질적인 문제를 풀어라 알맞은 방법으로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2): 시작하는 PM을 위한 5가지 스킬, 더 큰 차이를 만드는 킥[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1) 시작하는 PM을 위한 선배와의 3문3답PM으로 성장하고 싶다면 소통 능력 / 신뢰감 / 지식을 쌓으세요 -킥오프부터 차이를 만드는 PM이 되세요- 고민되는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03 서비스 뜯어보기 신공 (이미림 선배)  kaily의 브런치스토리커머스플랫폼 기획자 | 국내 IT 기업에서 PO로 재직중입니다. 커머스/패션/여가 플랫폼에서 다양한 서비스 기획을 해 본 N년차 기획자로서 경험을 통해 얻은 Insights를 공유합니다.brunch.co.kr 서비스를 뜯어보며 성장하자'서비스 뜯어보기'의 목적은 개인과 서비스..

📕 독서 기록 2025.04.02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2): 시작하는 PM을 위한 5가지 스킬, 더 큰 차이를 만드는 킥오프 기술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1) 시작하는 PM을 위한 선배와의 3문3답PM으로 성장하고 싶다면 소통 능력 / 신뢰감 / 지식을 쌓으세요 -킥오프부터 차이를 만드는 PM이 되세요- 고민되는 순간을 맞이할 때마다, 고객 문제의 본질을 되짚어보세요-유저가 프로덕트의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01 시작하는 PM을 위한 5가지 스킬 PM으로 성장하고 싶다면소통 능력, 신뢰감, 지식을 쌓으세요1. 글쓰기와 말하기 능력- PM에게 유독 중요한 이유는, PM은 스스로 뭔가를 만들기보다는 커뮤니케이션하는 역할이라 그렇습니다.  2. 오너십- 소통의 속도를 높이는 것 : PM은 소통 상대가 다양하기에 소통이 빠를수록 리소스를 아끼거나, 임팩트를 강화할 수 있음  3. 영어-..

📕 독서 기록 2025.04.02

[독서 기록📚] 프로덕트 매니저 원칙 (1) 시작하는 PM을 위한 선배와의 3문3답

PM으로 성장하고 싶다면 소통 능력 / 신뢰감 / 지식을 쌓으세요 -킥오프부터 차이를 만드는 PM이 되세요- 고민되는 순간을 맞이할 때마다, 고객 문제의 본질을 되짚어보세요-유저가 프로덕트의 진정한 가치를 깨닫고,다시 돌아올 준비를 하는 순간인 '아하 모먼트'를 찾아보세요! -모든 문제에는 원인이 있습니다.문제 해결은 '왜 안되는 것인지' 원인을 찾는 것에서 시작하세요-성장하는 PM이 되려면 늘 자신에게 물어보세요.'왜'냐구요-00 시작하는 PM을 위한 선배와의 3문3답신필수 선배내가 생각하는 PM 마트 점장이라고 하면 가장 와닿을 것 같습니다. 마트 점장이 직접 물건을 진열하거나 캐셔 일을 하지는 않죠. 하지만 모든 작업이 돌아가는데 필요한 일은 점장이 해야 합니다. 그래야 고객들이 마트에 와서 기분 ..

📕 독서 기록 2025.04.01

[문제 정의] 문제 정의할 때 '문제의 크기'를 고려해야 일 잘하는 PM입니다

PM이 하는 일을 한 줄로 요약하면 뭘까요?  "문제를 해결한다"더 정확히 말하면 ,"(비즈니스 임팩트를 저해하는)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한다" 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서 중요한 건, 뾰족하게 문제를 정의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체감하는 요즘입니다.    [문제 정의] PM은 현상이 아닌 문제의 '원인'을 해결해야 합니다ㅣ문제 정의에 얼마나 많은 시간느린 엘리베이터에 대한 불만을 거울로 해결한 이야기를 알고 계신가요?  현상: 엘리베이터가 느리다고 불만을 토로하는 탑승객 현상을 문제로 정의하여, 속도를 개선하고 또 개선 but 이용자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그렇다면 문제를 잘 정의하기 위해서 또 고려해야 할 중요한 부분이 무엇일까요?    바로 '문제의 ..

✏ 공부 2025.03.13

[토스 위닝 세션] 작은 실험이 토스를 키운다ㅣ장민영 토스 CPO | Square of Toss

성공하는 서비스를 만드는토스의 제품 실험 레시피  Chapter 1 토스 10년의 시작, 간편송금의 탄생  서비스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지만 나중에 출시하면 알람을 보내주겠다는 MVP로 사람들의 니즈를 검증한 것이 토스의 시작이다 왜 이렇게 했을까?그동안 무수히 실패를 통해 겪은 교훈우리가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제품을 만드는 게 아니라, 내가 만들고 싶었던 걸 만들었던 게 아닐까? 사람들을 관찰하기 시작사람들이 핸드폰으로 도대체 뭘 제일 많이 하는지 관찰했다 모바일 송금이 굉장히 불편하게 설계되어 있음을 발견하지만 그동안 숱하게 실패하다 보니 두려웠다 심지어 몇몇 유저들은 핸드폰으로 송금을 불편하게 생각하지 않기도 했다 (공인인증서 설치하고, OTP 체크하는 과정을 너무 당연하게 생각하는 유저도 있었다..

✏ 공부 2025.03.12

[커리어 목표] 나는 왜 서비스 기획자가 아닌 PM이 되고싶은가? 서비스 기획자와 PM의 차이점

우선 내 경력을 소개하자면,나는 마케터로 1년 조금 넘게 그리고 직무를 전환하여 서비스 기획자로 2년 일했다 비교적 작은 규모의 스타트업에서 일한 만큼 서비스 기획자로서 다양한 업무를 진행했다. 그러나 내가 진행한 업무를 살펴보니,나는 서비스 기획자와 PM 그 사이 어딘가 (..)에 걸쳐서 업무를 진행한 듯 싶다(다른 회사의 서비스 기획자 혹은 PM으로 일하시는 분들의 업무와 비교해보고, 또 커피챗을 진행하며 알게되었다) 그리고 진득하게 고민했다 1) 내가 다른 기획자들보다 더 잘하는 일이 무엇일까? 2) 내가 더 관심이 가는 일은 무엇인가?3) 일하면서 갈증을 느꼈던 부분은 없었는가? 4) 내가 목표로 하는 커리어는 무엇인가? 5) 나는 어떻게 성장하고 싶은가?.. 등등을 깊이 생각하다 보니 ..

✏ 공부 2025.03.09

[토스 PO Session 1️⃣] 토스 리더가 말하는 PO가 꼭 알아야할 개념 (feat. Carrying Capacity)

1. 데이터 그로스 모델링 사전 질문만약 서비스에서 파워 유저들이 모두 특정한 행동을 하는 것(ex. 프로필 채우기)을 발견했다고 가정하자. 그래서 모든 유저들에게 이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은 도움이 될까, 아닐까?내가 생각한 답: 어느 정도 경향성을 확인했다면 시도해볼 법한 액션이라고 생각한다.만약 서비스가 24시간동안 장애를 겪고, 다음날 트래픽이 많이 빠져있다. 이게 과연 서비스에 장기적으로 안 좋은 일일까, 괜찮은 일일까?내가 생각한 답: 일시적인 현상이므로 괜찮다고 생각한다.당신은 하루에 10만명의 유저가 방문하는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경쟁사도 마찬가지이다. 근데 하루에 10만명이 오는 것과 매주 70만명이 오는 것은 과연 상관이 있을까, 없을까?내가 생각한 답: 잘 모르겠다..광고를 계속 ..

✏ 공부 2025.03.08

[문제 정의] PM은 현상이 아닌 문제의 '원인'을 해결해야 합니다ㅣ문제 정의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하시나요?🤨

느린 엘리베이터에 대한 불만을 거울로 해결한 이야기를 알고 계신가요? 현상: 엘리베이터가 느리다고 불만을 토로하는 탑승객 현상을 문제로 정의하여, 속도를 개선하고 또 개선 but 이용자 불만은 계속된다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하지 못한 경우현상 발생 원인: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때 할 일이 없고 벽만 바라봐야 한다 = 지루함이 근본 원인 거울이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제공 = 이용자 VoC 감소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한 경우 핵심은 현상 그 자체를 문제라고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그 현상이 발생한 원인을 찾는 것이 정확한 문제 정의이다. 혹시 내가 정의한 문제가 '현상' 이 아닌가 의심해 보세요 , 뾰족하게 문제를 정의하세요MAU가 20% 하락한 것을 보고, MAU 감소한 것이 문제이다 라고 정의하는 것 문..

✏ 공부 2025.03.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