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nie The Pooh Bear

✏ 공부

[문제 정의] PM은 현상이 아닌 문제의 '원인'을 해결해야 합니다ㅣ문제 정의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하시나요?🤨

alwayshappydaysforever 2025. 3. 5. 14:48
반응형

느린 엘리베이터에 대한 불만을 거울로 해결한 이야기를 알고 계신가요? 

 

  • 현상: 엘리베이터가 느리다고 불만을 토로하는 탑승객 
    • 현상을 문제로 정의하여, 속도를 개선하고 또 개선 but 이용자 불만은 계속된다
    •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하지 못한 경우
  • 현상 발생 원인: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때 할 일이 없고 벽만 바라봐야 한다 = 지루함이 근본 원인 
    • 거울이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제공 = 이용자 VoC 감소 
    • 문제를 정확하게 정의한 경우 

 

핵심은 
현상 그 자체를 문제라고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그 현상이 발생한 원인을 찾는 것이 정확한 문제 정의이다. 

 

 

 

혹시 내가 정의한 문제가 '현상' 이 아닌가 의심해 보세요 , 뾰족하게 문제를 정의하세요

MAU가 20% 하락한 것을 보고, MAU 감소한 것이 문제이다 라고 정의하는 것 
  • 문제를 잘 정의할 수 있다고 어필할 수 있으려면 “깔때기” 모양 처럼 뾰족하게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 뾰족한 문제 정의 과정은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까? 
      1. 문제 현상 파악: 고객 혹은 이해관계자로부터 고객의 문제에 관한 데이터, 피드백, 인사이트 수집 
      2. 정량/정성 데이터로 주요 원인 리스트업
        • 문제가 왜 존재하는지
        •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인지: 그 현상이 발생한 다양한 원인을 모두 나열한다
        • 문제의 영향은 무엇인지 
      3. 풀어낼 만한 큰 원인 도출
      4. 이 원인이 발생하는 이유로 문제를 정의한다 

 

 

끊임없는 실험으로 고객에게 큰 가치를 제공하는, 토스뱅크 Data Analyst

지난 글에서 토스뱅크 Data Analyst가 어떤 커리어 목표를 가지고 어떻게 업무하고 있는지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실제 임팩트가 있었던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드리려 해요.

toss.im

 

 


문제 정의에 따라 솔루션은 천차만별이다 

좋은 솔루션은 좋은 문제 정의에서 따라옵니다. 
대체불가능한 솔루션은 '제대로 된 문제 정의'에서 옵니다.

문제 솔루션
고객 피드백 ) 메뉴가 다양하지 못하다  메뉴를 다양하게 추가한다 
진짜 문제 ) 주 고객층인 '대학생' 이 선호하는 메뉴가 없다 대학생을 위한 SNS를 중심으로 트렌디한 메뉴를 추가한다 
고객 피드백 ) 가격이 너무 비싸다 메뉴 가격을 낮춘다 
진짜 문제 ) 가격에 비해 양이 너무 적다 인근 식당 가격과 음식 양을 조사하고 전면 개편한다 

문제 정의 프레임워크 (끈질기게 why에 집착하기): Logic Tree 🌳

  1. 논리의 나무라는 의미로, 대상과 현상을 이루는 부분을 빠짐없이 도출하고 각각에 대해 원인을 찾아보는 방법 
  2. 예시
    • 영업 이익 하락 = 현상 
      • 매출이 낮다 
        • 투자 성과 저조 : 투자 효율 저조 / 투자 부서 부재
        • 기존 상품 매출 감소: 마케팅 효율 저하 / 경쟁사 제품 부각
      • 비용이 높다 
        • 인건비 상승: 직원 근속연수 증가 / 인당 효율성 저하  
        • 금리 상승

 

참고) 본질적 문제 정의 레벨 단계 

  • LV0: 제대로 문제를 정의하지 못하는 단계
    • 솔루션을 생각하기 전에 문제를 제대로 정의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지 못하는 단계 
    • 문제 현상이나 본인의 가정에 근거하여 성급하게 결론을 내리는 단계
  • LV1: 문제와 현상을 구분하는 단계 
    • 문제 파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제 원인을 탐색하는데 시간을 할애 
    • 정량/정성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보를 분석하여 문제의 근본 원인에 대한 인사이트를 획득하고자 노력 
    • 약점: 확증 편향, 문제를 너무 좁거나 넓게 정의하는 경우
  • LV2: 문제를 해체할 수 있는 단계 
    • 덩어리 문제 현상을 구성 요소로 세분화하고 각 부분을 독립적으로 분석하려고 시도 
    • 문제 가설이 정말로 해결이 필요한지 확인하기 위해 'why'적 사고 프레임 지속 시도 
    • 약점: 창의성이나 확장성 부족
  • LV3: 본질적 문제 정의 
    • 제1원칙 사고에 따라 문제를 해체하여 근본적 원인을 도출하는데 능숙
    • 실험과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가설 검증
  • LV4: 문제 해결 혁신가
  • LV5: 문제 혁신 리더 

 


거장들은 이미 뾰족한 문제 정의의 중요성을 알고 있다 🧐

 

나에게 1시간이 주어진다면,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하는데 55분을 쓰고, 
해결책을 찾는 데 나머지 5분을 쓸 것이다 (알버트 아인슈타인) 

 

 

[제1원칙 사고법 ]
복잡한 문제를 아주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분해한 다음,
다시 재조립하며 혁신적인 솔루션을 찾아내는 프레임 워크
(일론머스크) 

 

 

 

 


참고한 아티클 

 

 

문제를 정의한다는 건 분명한 문장을 쓸 수 있다는 것

두리뭉실한 불안이나 생각을 문장으로 옮겨보자 | 얼마 전 팀의 동료가 서비스에 대한 어떤 우려 섞인 아이디어를 들고 왔다. 이어지는 이야기를 듣는데, 팀원의 우려 혹은 아이디어 뒤에 자리

brunch.co.kr

 

 

핵심인재 업무 원칙 2. 본질적 문제 정의

#아이템 선정 #마케팅 #사업전략 #기타 핵심인재 업무 원칙 2. 본질적 문제 정의 안녕하세요, 언더독스에서 신규 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양승만 이사입니다.  요즘 스타트업 업계의 투자 환경이

eopla.net

 

 

현상과 문제를 제대로 구분하고 있나요? | 요즘IT

기획자의 모든 업무는 해결할 문제를 배경으로 시작하게 된다. 명확한 문제가 있어야 해결이라는 목표가 성립되며, 방향성을 더 견고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현업에서 안타깝게도 명확한

yozm.wishket.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