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배경 : 비즈니스 임팩트를 창출할 수 있는 프로젝트인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해요.
- 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하는지 비즈니스 임팩트를 설명해요.
- PM의 주요 역량으로 ' 비즈니스 임팩트를 만들 수 있는 역량' 이 나오는 이유예요.
- 목표를 수립해요.
- input metric -> output metric 구조로 수립해요.
- 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하는지 비즈니스 임팩트를 설명해요.
- 문제 정의 : 현상을 문제로 착각하지 말아야 해요.
- 현상이 발생한 원인을 [정량적] [정성적]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해야 해요.
- 현상이 발생한 '진짜 원인'을 찾고, 문제로 정의해야 해요 = 드릴다운, 또 드릴다운 !
- PM의 드릴다운은 정말 깊고 또 깊어야 한다
- 뾰족하고, 날카롭게 문제 정의를 잘할 수 있는 것이 PM 역량의 80% 라고 봐도 과언이 아닌 듯.
- 액션 : 실행방안을 찾아요.
- 문제정의를 얼마나 날카롭게 했는지에 따라 실행 방안은 꽤나 수월하게 흘러가요.
- 다른 maker(개발자, 디자이너)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action을 찾아요.
- 문제정의를 얼마나 날카롭게 했는지에 따라 실행 방안은 꽤나 수월하게 흘러가요.
- 결과 :목표를 달성했는지 '객관적으로' 결과를 분석해요.
- 얼마나 객관적으로 결과를 측정했는지도 중요해요.
- 이 프로젝트로 이뤄낸 결과가 맞는지? 객관적으로 냉정하게 분석해요.
- Next Step 을 찾아요.
- 얼마나 객관적으로 결과를 측정했는지도 중요해요.
- 레슨런 : 회고해요.
- KPT 방법론도 좋고, 내가 배운 느낀 레슨런을 자세하게 팀원들과 꼭 공유해요.
-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방법도 좋아요.
반응형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 PO Session 3️⃣] 토스 리더가 말하는 유저를 끌어당기는 서비스 개선 (feat. Retention, Activation) (0) | 2025.03.08 |
---|---|
[토스 PO Session 2️⃣] 유저를 떠나지 않게 만드는 단 하나의 개념 (feat. Aha Moment) (0) | 2025.03.08 |
[토스 PO Session 1️⃣] 토스 리더가 말하는 PO가 꼭 알아야할 개념 (feat. Carrying Capacity) (0) | 2025.03.08 |
[공부] 데이터는 쪼개 볼수록 더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0) | 2025.03.06 |
[문제 정의] PM은 현상이 아닌 문제의 '원인'을 해결해야 합니다ㅣ문제 정의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투자하시나요?🤨 (1)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