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nie The Pooh Bear

✏ 공부/토스 PO Session 9

[토스 위닝 세션] 작은 실험이 토스를 키운다ㅣ장민영 토스 CPO | Square of Toss

성공하는 서비스를 만드는토스의 제품 실험 레시피  Chapter 1 토스 10년의 시작, 간편송금의 탄생  서비스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지만 나중에 출시하면 알람을 보내주겠다는 MVP로 사람들의 니즈를 검증한 것이 토스의 시작이다 왜 이렇게 했을까?그동안 무수히 실패를 통해 겪은 교훈우리가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제품을 만드는 게 아니라, 내가 만들고 싶었던 걸 만들었던 게 아닐까? 사람들을 관찰하기 시작사람들이 핸드폰으로 도대체 뭘 제일 많이 하는지 관찰했다 모바일 송금이 굉장히 불편하게 설계되어 있음을 발견하지만 그동안 숱하게 실패하다 보니 두려웠다 심지어 몇몇 유저들은 핸드폰으로 송금을 불편하게 생각하지 않기도 했다 (공인인증서 설치하고, OTP 체크하는 과정을 너무 당연하게 생각하는 유저도 있었다..

[동기부여] 꿈을 현실로 만든 10년의 여정ㅣ이승건 토스팀 리더ㅣSquare of Toss

어떤 결정을 하고 실행한 결과값으로 지금의 이승건과 토스팀이 있게 되었나요? 1단계 ) 마음대로 살아도 되는 기반 준비하기 = 경제적 + 심리적 기반 준비하기 '내 삶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은 무엇일까?  = 나 자신의 욕망 정리하기  막상 열심히 노력하다 보니, 행복이 주인공이 되어야 하는데, 준비 과정(ex. 이 인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행복하기 위한 준비에 써도 되는 시간은?단단한 경제적, 심리적 기반을 가지기 위해서는 꿈을 줄여야 되더라허영심을 걷어내고, 내가 진짜 원하는 나에게 진짜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 무엇인지 찾게 되더라.인간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화한다 = 엄마의 꿈이 내 꿈이 되는 것, 사회가 인정하는 사람이 내 꿈이 되는 것 그러한 고찰을 겪고 나니, 나의 삶이 행복해지는데 사실..

[토스 PO Session 7️⃣] 토스 리더가 직접 답해드립니다

[토스 PO Session 6️⃣] 토스는 이렇게 시작했습니다 (feat. 죽고자 하는 자는 산다)[토스 PO Session 5️⃣] 토스 리더가 말하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만드는 법 (Viral Growth, 진정한 CC의[토스 PO Session 4️⃣] 토스 리더가 말하는 바이럴 성장이란 무엇인가 (feat. Viral Growth, Network effect)[토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Q1. Carrying Capacity는 현실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개념이다.신규 사용자 수는 고정이라고 하는데 사실 많은 서비스에서 기존 사용자 수가 신규 사용자 수에 영향을 준다.Viral K는 Time decay의 경향을 가지고 있고, 굉장히 빠르게 일어난다.즉, 보통 가입한..

[토스 PO Session 6️⃣] 토스는 이렇게 시작했습니다 (feat. 죽고자 하는 자는 산다)

[토스 PO Session 5️⃣] 토스 리더가 말하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만드는 법 (Viral Growth, 진정한 CC의[토스 PO Session 4️⃣] 토스 리더가 말하는 바이럴 성장이란 무엇인가 (feat. Viral Growth, Network effect)[토스 PO Session 3️⃣] 토스 리더가 말하는 유저를 끌어당기는 서비스 개선 (feat. Retention, Activation)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1. 살고자 하는 자의 생각의 흐름이승건 대표님의 실패 사례 → 울라블라 (오프라인에서 만나면 기록할 수 있는 커뮤니티 앱) 🤔 창업경진대회에서 만난 선배님음 … 재미있는 걸 하네 … (최대한 조심, 배려하는 말투로) 근데 그걸 왜 써요? 언제..

[토스 PO Session 5️⃣] 토스 리더가 말하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만드는 법 (Viral Growth, 진정한 CC의 성장)

[토스 PO Session 4️⃣] 토스 리더가 말하는 바이럴 성장이란 무엇인가 (feat. Viral Growth, Network effect)[토스 PO Session 3️⃣] 토스 리더가 말하는 유저를 끌어당기는 서비스 개선 (feat. Retention, Activation)이전 글은 여기에 있습니다 - !  [토스 PO Session] 유저를 떠나지 않게 만드는 단 하나의 개념 (feat.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1. 바이럴 성장 만들기 (Designing Viral Growth)Viral Growth 공식Virality = Payload * Conversion Rate * FrequencyPay Load: 바이럴 루프 한 번에 몇 명에게 그 메시지가 도달..

[토스 PO Session 4️⃣] 토스 리더가 말하는 바이럴 성장이란 무엇인가 (feat. Viral Growth, Network effect)

[토스 PO Session 3️⃣] 토스 리더가 말하는 유저를 끌어당기는 서비스 개선 (feat. Retention, Activation)이전 글은 여기에 있습니다 - !  [토스 PO Session] 유저를 떠나지 않게 만드는 단 하나의 개념 (feat. Aha Moment)이전 글부터 보고 오시는 걸 추천합니다요 - !  [토스 PO Session] 토스 리더가 말하는 PO가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세상의 모든 것을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 PO에게 필요한 멘탈리티라플라스의 악마 : 현재 숫자를 알면 미래를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사건들은 대부분 모델링이 가능하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1. 데이터 그로스 모델링Inflow User 종류 = Organic u..

[토스 PO Session 3️⃣] 토스 리더가 말하는 유저를 끌어당기는 서비스 개선 (feat. Retention, Activation)

이전 글은 여기에 있습니다 - !  [토스 PO Session] 유저를 떠나지 않게 만드는 단 하나의 개념 (feat. Aha Moment)이전 글부터 보고 오시는 걸 추천합니다요 - !  [토스 PO Session] 토스 리더가 말하는 PO가 꼭 알아야할 개념 (feat. Carrying Capacity)1. 데이터 그로스 모델링 사전 질문만약 서비스에서 파워 유저들이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오늘 배울 내용: PMF를 찾은 이후 바로 해야 하는 것: Retention, Activation을 개선하는 방법1. Retention을 이끄는 아하 모먼트 구하기1. 액션 XX 후보군 구하기액션 XX = 어떤 액션을 특정 기간내에 z번한 것방법 : 액션 XX는 직관이나 노가..

[토스 PO Session 2️⃣] 유저를 떠나지 않게 만드는 단 하나의 개념 (feat. Aha Moment)

이전 글부터 보고 오시는 걸 추천합니다요 - !  [토스 PO Session] 토스 리더가 말하는 PO가 꼭 알아야할 개념 (feat. Carrying Capacity)1. 데이터 그로스 모델링 사전 질문만약 서비스에서 파워 유저들이 모두 특정한 행동을 하는 것(ex. 프로필 채우기)을 발견했다고 가정하자. 그래서 모든 유저들에게 이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PMF를 찾았다'의 의미= Retention Plateau에 기반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리 서비스를 사용하는 유저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된다 = 광고 없이도 재방문해서 사용하는 유저가 있다= 최소 20% 이상을 목표로 잡자 PMF를 찾은 이후 해야할 일 = Retention부터 개선해..

[토스 PO Session 1️⃣] 토스 리더가 말하는 PO가 꼭 알아야할 개념 (feat. Carrying Capacity)

1. 데이터 그로스 모델링 사전 질문만약 서비스에서 파워 유저들이 모두 특정한 행동을 하는 것(ex. 프로필 채우기)을 발견했다고 가정하자. 그래서 모든 유저들에게 이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것은 도움이 될까, 아닐까?내가 생각한 답: 어느 정도 경향성을 확인했다면 시도해볼 법한 액션이라고 생각한다.만약 서비스가 24시간동안 장애를 겪고, 다음날 트래픽이 많이 빠져있다. 이게 과연 서비스에 장기적으로 안 좋은 일일까, 괜찮은 일일까?내가 생각한 답: 일시적인 현상이므로 괜찮다고 생각한다.당신은 하루에 10만명의 유저가 방문하는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경쟁사도 마찬가지이다. 근데 하루에 10만명이 오는 것과 매주 70만명이 오는 것은 과연 상관이 있을까, 없을까?내가 생각한 답: 잘 모르겠다..광고를 계속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