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nie The Pooh Bear

✏ 공부/데이터(지표) 12

[지표] 허영 지표ㅣKPI를 달성하지 못했다면?ㅣ제품 성장 단계에 따른 KPI

이 글은 팁스터의 성과지표(KPI), 이렇게 설정하고 관리합니다 의 글을 재가공한 글입니다. 1. 허영지표와 의미있는 지표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행동 가이드를 줄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판별할 수 있다 허영 지표 의미있는 지표 정의어떤 액션을 취해야 할지 알 수 없는 지표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액션으로 이어지는 지표 예시(단순히) 클릭수 , 신규 가입자 수 상세페이지 조회 후 구매까지 걸린 시간 2. KPI를 달성하지 못했을 때는? 1. 지표 재설정이 필요한 경우 = 가드레일 지표가 함께 무너진 경우(ex) 신규 가입자 수는 높아졌으나, 매출과 활성화 비율은 낮아짐 = bad!(ex) 가입 후 7일 이내 핵심 행동 완료 비율이 높아지면, 가입자수는 하락해도 활동 및 매출 지..

[지표] 선행지표와 후행지표 &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input - output 지표

이 글은 Yongjin Jin님이 링크드인에 작성하신 이라는 글을 보고 학습한 글입니다 1. 선행지표와 후행지표 구분 선행지표 (Leading Indicator) 후행지표 (Lagging Indicator) 정의 지금 당장 어떤 행동을 해야 미래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미리 알려주는 지표 이미 일어난 일을 통해 우리의 노력이 얼마나 성공적이었는지 확인하는 지표 예시커머스 - 검색 결과에서 장바구니 전환율 SaaS - 세션당 핵심 기능 사용 횟수 매출, ARR(연간 반복 매출), 리텐션 특징팀이나 조직이 직접적으로 통제 가능 외부 변수나 여러 팀의 복합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기에 통제력이 낮으며, 문제 발생시 진단+ 개선하는데 오랜 시간 소요 2. 선행지표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 1) 변화를 사전에 ..

[지표] DAU, WAU, MAU 그리고 Stickiness

이 글은 데이터리안의 'DAU, WAU, MAU 그리고 Stickiness 알아보기'글을 학습하며 작성했습니다.1) DAU, WAU, MAU 정의 - DAU : 일간 활성 사용자 수 - WAU: 주간 활성 사용자 수 - MAU: 월간 활성 사용자 수 2) 지표 특성 / 해석하기 DAU - DAU는 날짜에 따라 확실한 변동이 있음- DAU 모니터링이 필요하면 따로 대시보드를 만들어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함 WAU ✔️ 예제 1 = DAU :1, WAU: 7 = 매일매일 새로운 유저가 들어오고 기존 유저의 재방문이 없으므로 DAU의 합산이 곧 WAU가 된다 ✔️ 예제 2 = DAU :7, WAU: 7= 기존 유저의 재방문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므로 일주일동안 DAU의 합산은 WAU보다 훨씬 크다 MAU -..

[지표] 기능 성공을 측정할 3가지 지표 : 핵심 지표(가치 중심), 보조 지표(활용 중심), 가드레일 지표(문제 예방 지표)

저작권 이슈가 있어 해당 글 링크를 첨부합니다. (원문: https://medium.productcoalition.com/your-feature-success-metrics-are-worthless-95ad8e1b52ae) 기능 성공 지표, 정말로 측정하고 있나요? | 요즘IT사실 대부분의 팀은 기능의 성공 지표를 단순한 형식적 절차로 취급합니다. 측정 방식을 논의하고 마지못해 기획서에 몇 가지 지표를 적어 두지만, 결국 실제 데이터는 한 번도 들여다보지 않죠yozm.wishket.com 이 글에서는 이런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성공 지표의 3가지 유형: 핵심 지표(가치 중심), 보조 지표(활용 중심), 가드레일 지표(문제 예방 지표)- 성공 지표를 더 잘 활용하는 방법

[지표] 수익화를 측정하는 지표 : ARPU, ARPPU, LTV, LTR

수익화 관련 주요 지표ARPU (Average Revenue Per User) 사용자 한 명이 평균적으로 발생시키는 매출 ARPU는 시작과 끝이 있는 특정 기간에 대한 지표다 = 회사마다 통용되는 명확한 기준 필요, 보통 월 기준 월 기준으로 집계한다면 = 월매출 / MAU ARPPU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결제자 인당 평균 매출 마찬가지로 기간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 보통 월 기준으로 측정 계산: 매출 / 유료사용자 고객 생애 가치 (Lifetime Value, LTV) 사용자가 진입하는 순간부터 이탈하는 순간까지의 전체 활동 기간에 누적해서 발생시키는 수익 현실적으로 구하기 어려운 개념 -> 보완 : LTR 고객 생애 가치(Customer Lifetime..

[지표] 서비스 성공을 예측하는 지표: 리텐션ㅣ리텐션 정의, 측정 지표, 리텐션 개선

리텐션 정의 리텐션은 서비스의 성공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지표 리텐션은 잘하고 있을 때일수록 더 세심하게 측정하고 관리해야 한다 (개선하더라도 효과가 한참 뒤에나 나타나는 지표)리텐션은 AARRR 중에서도 특히나 개선이 어려운 영역으로 꼽힌다, 하지만 개선한 만큼 장기적으로 엄청나게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지표이다 기준 일반적 기준: 일반적으로 '접속'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하지만 꼭 '접속'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다른 기준상품 페이지 5개 이상 방문, 구매하기 클릭, 구매 완료, 재구매, 친구 초대, 메시지 주고받기, 콘텐츠 시청 리텐션 측정 지표1. 코호트 리텐션 = 특정 코호트 유저들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지되는 비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리텐션율이 어떻게 변화하..

[지표] 인게이지먼트 지표 : 리텐션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핵심 지표

Engagement 주요 질문들 1. 얼마나 많은 유저들이 프로덕트를 이용하나? (Breadth)2. 유저들이 프로덕트의 기능들을 얼마나 깊이 이용하나? (Depth) 3. 프로덕트를 얼마나 자주 이용하나? (Frequency)4. 유저들이 프로덕트에서 성공적으로 과업을 완수하는가? (Efficiency) 1. 얼마나 많은 유저들이 프로덕트를 이용하나? (Breadth)- DAU - WAU - MAU 2. 유저들이 프로덕트의 기능들을 얼마나 깊이 이용하나? (Depth) 2-1) 액티브 유저 중 N가지 이상의 기능을 이용한 사용자 수, 비율 2-2) Time Spent / DAU , Time Spent / WAU2-3) Time Spent / Session 3. 프로덕트를 얼마나 자주 이용하나? (..

[지표]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3): T2P(Trial To Paid)

[앱 서비스 수익화]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1) : MRR, Net MRR Movement, ARPPU앱 서비스로 매출을 낼 수 있는 2가지 방식 정의고려해야 할 부분광고 수익화유저 입장에서 사용성을 희생하면서 공짜로 앱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1. 광고 지면 선정 (클릭, 노출이 많이 발생)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앱 서비스 수익화]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2) : 무료 체험이전 글부터 정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앱 서비스 수익화]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1) : MRR, Net MRR Movement, ARPPU앱 서비스로 매출을 낼 수 있는 2가지 방식 정의고려해야 할 부alwayshappydaysforever.tist..

[지표]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2) : 무료 체험

이전 글부터 정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앱 서비스 수익화]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1) : MRR, Net MRR Movement, ARPPU앱 서비스로 매출을 낼 수 있는 2가지 방식 정의고려해야 할 부분광고 수익화유저 입장에서 사용성을 희생하면서 공짜로 앱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1. 광고 지면 선정 (클릭, 노출이 많이 발생) alwayshappydaysforever.tistory.com [공부] 이미 구매한 유저의 재구매(갱신) 유도하기 🆚 신규 유저의 구매 유도하기/ 계속 공부하며 아래 내용을 채워나갈 예정입니다 / Free-mium 모델을 BM으로 가지고 있는 서비스에서 각 유저별 구매를 유도하는 법 1. Freemium이란?프리미엄(Freemium)은 기본 서비스는..

[지표]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이해하기(1) : MRR, Net MRR Movement, ARPPU

앱 서비스로 매출을 낼 수 있는 2가지 방식 정의고려해야 할 부분광고 수익화유저 입장에서 사용성을 희생하면서 공짜로 앱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1. 광고 지면 선정 (클릭, 노출이 많이 발생) 2. 포맷 (이미지, 배너, 네이티브, ...) 3. 미디에이션 플랫폼 및 광고 소스 (admob...)4. 입찰 방식 5. 필터링 조건 ....등 고려할 외부 정보가 아주 많다구독 수익화일정 주기마다 지속적으로 결제가 되게끔 해두고, 해당 기간 내에 재화 및 서비스를 자유롭게 무제한으로 누리는 방식의 상품 외부 정보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하는 광고 수익화와 다르게 우리 제품 내부에 집중해야 한다 구독 수익화 기본 지표 / DAU 200만 알라미 서비스의 실제 구독 수익화 사례에 기반하여 작성된 아티클을 읽어보며 ..

반응형